본문 바로가기

파크골프

파크골프 롱 홀에서 투 온(Two-On)을 노리는 공략법

파크골프 롱 홀에서 투 온(Two-On)을 노리는 공략법

 

롱 홀(주로 파4, 파5)에서의 투 온 성공 여부는 스코어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공격적인 투 온을 시도할 때는 비거리뿐만 아니라, 세컨드 샷의 '핀 공략 전략'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1. 티샷 (첫 번째 샷) 최대 비거리 확보 전략

투 온의 성공 여부는 90% 이상 티샷으로 결정됩니다. 남은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최대 스윙 활용: 비거리 확보를 위해 평소보다 약간 더 큰 아크를 그리며, 몸통 회전을 최대로 사용하는 풀 스윙을 시도합니다.
  • 티 높이: 공을 살짝 띄우고 런을 확보하기 위해, 평소보다 티를 약간 높게 설정하여 헤드 중심에 정확히 맞추는 연습을 합니다.
  • 착지 지점 설정: 무조건 멀리 치기보다는, 공이 페어웨이 중앙의 가장 평탄한 지점이나 세컨드 샷 시 앞을 가리는 장애물이 없는 곳을 목표로 삼아 정확도를 높입니다.
  • 오버 스윙 금지: 비거리를 늘리려 과도하게 오버 스윙을 하면 정확도가 급격히 떨어져 OB(아웃 오브 바운드)나 러프에 빠져 투 온 기회를 잃게 됩니다.

2. 세컨드 샷 (두 번째 샷)의 핀 공략 기술

세컨드 샷은 그린에 올리는 것이 목표이며, 이때 런을 고려하여 핀 주변에 가깝게 붙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핀 위치 공략 방향 및 목적 샷의 특징
핀이 그린 앞 쪽 핀보다 약간 길게 치는 것이 안전합니다. 짧은 샷은 런이 부족해 그린에 미치지 못할 위험이 큼.
핀이 그린 뒤 쪽 핀보다 약간 짧게 치는 것이 안전합니다. 길게 치면 그린 뒤쪽으로 넘어가기 쉽고, 어려운 칩샷을 남기게 됨.
경계선(해저드) 근처 핀을 직접 노리기보다 그린 중앙을 목표로 합니다. 안전하게 그린에 안착하여 쓰리 퍼팅이라도 파(Par)를 확보하는 것이 우선.

3. 환경 요인(바람, 지형) 활용법

  • 맞바람(헤드 윈드): 비거리 손실이 크므로, 티샷 시 평소보다 클럽을 더 강하게 잡고, 세컨드 샷에서는 한 타 적게 치는 것을 목표로 보정합니다. (ex. 20m를 25m 힘으로)
  • 뒷바람(테일 윈드): 비거리가 늘어나므로 오버런을 주의해야 합니다. 티샷 시 안전하게 컨트롤 샷을 구사하여 페어웨이를 지키고, 세컨드 샷은 평소보다 약하게 쳐서 그린을 넘기지 않도록 합니다.
  • 내리막 지형: 공의 런이 길어지므로, 비거리 계산 시 최종 런 거리를 10~20% 더 추가하여 생각하고 평소보다 짧게 칩니다.
  • 오르막 지형: 공의 런이 짧아지므로, 공을 띄우는 느낌으로 치고 평소보다 더 강하게 때려 거리를 확보해야 합니다.
성공적인 투 온은 무리한 비거리 싸움이 아니라, '세컨드 샷이 그린에 안착할 수 있는 최소한의 거리를 남기는' 전략적인 티샷에서 비롯됩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 파크골프에서 '투 온(Two-On)'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A. 투 온(Two-On)은 규정 타수(Par)에 상관없이, 티샷(첫 번째 샷) 후 두 번째 샷으로 공을 그린 위에 올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Par 4 홀에서 투 온에 성공하면 버디를 노릴 수 있고, Par 5 홀에서 투 온에 성공하면 이글을 노릴 수 있게 됩니다.

Q. 투 온을 시도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요?

A. 가장 중요한 것은 '티샷의 비거리와 정확도'입니다. 티샷이 페어웨이를 벗어나거나 거리가 짧으면 세컨드 샷의 부담이 커지거나 아예 투 온 기회를 잃게 됩니다. 티샷으로 최소한 남은 거리를 20~30m 이내로 줄이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2025.11.26 - [파크골프] - 파크골프 잔디 상태별 공의 런(Run) 예측 기술